본문 바로가기
무지개의 생활지식

지구온난화 주된 원인은 무엇일까?(온실효과)

by 실버콩콩 2022. 8. 15.
728x90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평균 온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후의 패턴 또는 현상이 변화하는 현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우리 지구는 태양에너지인 햇빛을 흡수 및 방출하여 태양으로부터 오는 따뜻한 열을 가둠으로써 온실 효과를 얻는다. 태양에너지는 일부분 대기에서 반사되어 우주로 방출되고 또 일부는 대기에 흡수되고 있다. 50% 정도의 햇빛만이 지표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지표에 의해 흡수된 빛 에너지는 열에너지나 파장이 긴 적외선으로 바뀌어 다시 방출하게 된다. 이 방출되는 적외선은 반 정도는 대기를 뚫고 우주 밖으로 빠져나가지만, 나머지는 구름이나 수증기,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 효과 기체에 의해 흡수되며 온실효과 기체들은 다시 지표로 되돌려 보낸다.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하면서 지구를 덥게 하는 것이다.

 

온실효과 예시 이미지
온실 효과 예시

 

 

 

실제 대기에서 일어나는 온실 효과는 지구를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시켜 주는 매우 중요한 현상 중 하나이다. 만약 대기가 없어 온실 효과가 없어진다면 지구는 화성과 같이 낮에는 햇빛을 받아 수십도 이상 온도가 올라가고, 반대로 태양이 없는 밤이 되면 모든 열이 방출되어 영하 100℃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온실 효과는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없어선 안 될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온실기체 즉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량이 대기 중에 과하게 존재할 경우 더운 열기가 우주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지구 대기에 흡수되어 지구 온도가 증가하는 지구온난화가 발생하는 것이다.

 

온실 기체가 증가 원인은 무엇이 있을까?

 

 

 

1. 온실 기체는 어디서 오는가?

 

산업 혁명 이후에는 화석 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를 추출하고 연소하는 등 인간의 활동으로 대기 중 온실 기체량이 많이 증가하여 복사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이산화 탄소와 메테인의 농도는 1750년 이후 각각 약 48%, 160% 증가했다. 이산화 탄소 농도는 지난 200만 년 기준 최고 수치이다. 메테인의 농도는 지난 80만 년 기준 최고 수치이다.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로 교통 제조업, 전기를 위한 에너지를 쓰기 위해 화석 연료를 태우며 발생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산림 벌채와 산업 공정에서도 이산화 탄소가 배출되었는데 주로 알루미늄,강철 비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 반응으로 이산화 탄소가 배출되었다. 메테인은 주로 쌀 재배, 매립지,가축 목축,천년 거름 이용,폐수, 석탄 및 석유,천년 가스 채굴 과정에서 배출되었다.

 

 

2. 토지 이용 변화

 

현재 지구 토지 영역의 34%가 농경지이며 26%는 숲, 30%는 사람이 살 수 없는 빙하나 사막 같은 지형이다. 인간의 편리를 위해 숲과 산림의 넓이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줄어든 산림의 넓이는 계속 줄어들고 있는데 줄어드는 과정에서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탈산림화로 나무가 벌채될 때 나무 안에 있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고 그 나무가 미래에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기회를 뻬았는다.

 

산림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흡수원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면서도 무분별한 살림 파괴로 인해 온실 기체의 증가를 야기하고 있다.

 

 

댓글